티스토리 뷰
여러분 안녕하세요? 즐거운 월요일입니다. 오늘은 여러분들에게 노트북 내장그래픽을 비활성화하고, 외장그래픽만 구동될 수 있게 하는 노트북 내장그래픽 끄기 방법에 대해 설명해 드리고자 합니다.
내장그래픽 끄는 방법
여기서 내장그래픽과 외장그래픽은 상황에 따라 자동 전환되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함이 없다면 굳이 내장그래픽을 비활성화 시킬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말씀 드립니다. 자, 그럼 본격적으로 노트북 내장그래픽 끄기 방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노트북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 NVIDIA 제어판을 선택해 주세요.
노트북 내장그래픽 끄기 에서 가장 먼저 변경해야 할 부분이 3D 설정인데요, NVIDIA 제어판 좌측 메뉴에 있는 ‘3D 설정’에서 ‘3D 설정 관리’를 클릭합니다.
오른쪽에 있는 전역 설정 탭에서 기본 그래픽 프로세서(P)를 고성능 NVIDIA 프로세서로 변경 선택 해 주세요.
다음으로 PhysX 구성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박스표시 된 PhysX 구성 설정을 클릭해주세요.
PhysX 프로세서 선택에서 화살표 버튼을 누르면, 자동 선택(권장), 그래픽 카드 GeForce GTX 870M, CPU 등이 보이는데요, 그래픽카드를 선택 해 주세요.
위와 같이 설정을 마치면 노트북의 내장그래픽 비활성화가 완료되는데요, 설정과 동시에 내장그래픽이 꺼지고 외장그래픽만 구동되며, 재부팅 하지 않아도 바로 적용됩니다. 여기까지 노트북 내장그래픽 끄기 방법 설명해 드렸는데요~ 굉장히 쉽고 간단하죠? 보다 빠른 작업이 필요할 때 위와 같은 방법으로 해결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내장그래픽 끄기에 대한 포스팅을 마칩니다. ^^
'IT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x-1360 드라이버 설치하기 (0) | 2018.03.29 |
---|---|
블루스택 로그인 오류 해결방안! (0) | 2018.03.26 |
숨김폴더 찾기 3초면 끝!! (0) | 2018.03.18 |
jpg 용량줄이기, jpg 사진 용량 줄이기 뿐만 아니라 png 용량 줄이기 또한 가능 (0) | 2018.03.16 |
j2j 압축풀기 방법, j2j 파일 프로그램 이용해서 쉽게 풀 수 있어요 (0) | 2018.03.15 |